보청기 가격 걱정 마세요! 국가·지자체 지원제도 활용법 안내

보청기 가격은 평균 100만 원을 훌쩍 넘는 경우가 많아 많은 분들이 선뜻 구매를 망설이게 됩니다. 하지만 2025년 현재는 국민건강보험, 지자체, 복지기관 등 다양한 경로로 보청기 구입비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.
오늘은 보청기 가격대별 특징부터 지원 대상, 신청 방법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릴게요. 가족 중에 보청기가 필요한 어르신이 계시다면 꼭 끝까지 읽어보세요.
1. 보청기 가격대별 특징
보청기는 귓속형, 귀걸이형, 오픈형 등으로 나뉘며 가격은 60만 원~400만 원까지 다양합니다. 성능이 고급형일수록 잡음 제거, 블루투스 연동, 충전식 기능이 포함되며 가격도 상승합니다.
2. 지원금 제도 요약
2025년 기준 국민건강보험 보청기 지원금은 최대 131만 원까지 제공됩니다. 청각장애 등록 시 지원되며, 기초수급자/차상위계층은 100%에 가까운 실비 지원도 가능합니다.
3. 신청 자격 및 절차
① 병원에서 청력검사 → ② 청각장애 등록 신청 → ③ 등록 완료 후 보청기 구입 → ④ 영수증 및 처방전으로 국민건강보험 신청 → ⑤ 지원금 지급
단, 반드시 등록 후 구입해야 하며, 인증된 제품과 업체만 가능하니 주의하세요.
4. 추가로 받을 수 있는 혜택
지자체 추가 지원금, 복지관 맞춤 지원, 보조기기센터 무료 테스트 등도 활용 가능해요. 일부 지역은 보청기 수리비도 연 1회까지 지원합니다.
Q1. 보청기 사기 전에 장애 등록 먼저 해야 하나요?
맞습니다. 반드시 장애등록 → 등록증 발급 후 보청기를 구입해야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.
Q2. 온라인에서 산 보청기도 지원되나요?
아니요. 인증받은 오프라인 청각전문센터에서 구입한 제품만 보조금 대상입니다.
Q3. 보청기 2개(양쪽) 사면 두 배 지원되나요?
국가 지원금은 1개 기준입니다. 양쪽 착용해도 1회분만 지원됩니다.